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면 매년 고민되는 게 한 가지가 있다.
엔진오일. 광유로 교환할 것 인가? 합성유로 교환할 것인가?
오늘은 엔진오일의 정확한 개념과 장단점을 알아 보는 시간을 같도록 하겠습니다.
1. 엔진오일이란?
- 엔진의 성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윤할, 냉각, 청소, 부식방지, 씰링, 유압지원을 제공하는것이
엔진오일의 주요된 기능입니다.
- 만일 엔진오일이 부족하거나 없으면 원활한 엔진의 운용이 안 되기 때문에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오일 교환과 엔진에 적합한 오일을 사용하는 것은 엔진을 양호하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엔지오일의 구성
- 엔진오일은 아래 그림과 같이 기유가 약 80~90%의 비중을 차지하고 첨가제가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는 혼합유입니다.
- 광유와 합성유는 BASE OIL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구분됩니다.
-BASE OIL을 정제된 광유(Mineral Oil)를 사용했다면 광유,
인공적인 방법으로 화학적 합성을 만들어낸 합성유(Synthetic Oil)을 사용했다면 합성유
2. 엔진오일 무엇으로 교환해야 하나?
1) 광유와 합성유
구분 | 광유 | 합성유 |
특징 | 원유를 정제해서 생산한 윤활기유 |
광유의 약점을 보완한 윤활성을 최적화한 인공적으로 만든 기유 |
2) 기유별 대표적인 차이
구분 | 광유 | 합성유 |
엔진조건 | - 표준운전 조건에 잘 작동 - 고온에서 점도가 떨어지고 슬러지 발생 |
- 극한의 온도에서도 탁월한 성능 - 슬러지 분해 및 형성에 방지하여 엔진 보호 |
윤활성 | - 양호 | - 양호 |
교환주기 | 3,000km ~ 5,000km | 7,500km ~ 15,000km |
비용 | 합성유에 비하여 저렴 | 가격이 고가 (합성기유를 만들기 위한 공정이 많음) |
3) 광유 사용 시 중요점
- 광유는 엔진오일의 기본인 윤활성능에는 충실하나,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장시간 운행 시 점성이 낮아지고 열산화 반응의 불순물로 슬러지가 발생해 엔진을 보호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연비저감, 소음과 진동증가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 따라서 광유를 사용 시 성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서는 잦은 교환을 해야만 한다.
3. 성능, 가격, 선택은 오로지 나의 몫
가격은 저렴하지만 잦은 교환 주기를 가진 광유, 가격은 고가지만 교환 주기가 긴 합성유,
단순하게만 보면 합성유가 더 좋은 것이 아닌가 할 수도 있지만,
교환주기를 잘 신경 써서 관리한다면 광유도 나쁘지 않다.
무조건적으로 한쪽이 좋다고 볼 것이 아니고 교환에 필요한 기회비용(비용과 교환를 위한 시간 투자 등)을
고려하여 본인에게 맞는 엔진오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4. 합성유 저렴하게 교환하는 팁
- 먼저 해야할인 : 내 차에 맞는 오일 찾기 (자동차 설명서에 명시됨, 오일종류 및 양)
- 온라인에서 합성유 구매 → 공임나라 오일 교환 예약 → 오일 가지고 공임나라에서 교환
- 교환비용은 오일 전문점이나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교환하시는 비용 대비 상당히 저렴
- 조금은 번거롭지만 비용절감을 위해서 이정도 쯤은 해야 하지 않을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 살림의 아이템, 후딱 거꾸로 캡 (0) | 2024.06.10 |
---|---|
자전거(bike)의 종류와 특징에 관한 이야기 (1) | 2024.06.07 |
이케아(IKEA)에 대한 간략한 정보 (0) | 2024.06.04 |
의외로 잘 모르는 기능, 갤럭시 카메라 스캔기능 (0) | 2024.05.29 |
무선 노트북을 유선 인터넷 사용하는 방법, 랜 젠더 사용하기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