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시리즈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완전 정복(주택, 상가, 임대차)

by 에레노 2025. 4. 23.
반응형

부동산 거래 시 중개수수료 즉 복비를 지급해야 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거래 금액과 유형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정확한 계산법에 대해서 지금부터 알려 드리겠습니다.

1.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

  • 계산 공식 : 중개수수료 = 거래금액 X 상한 요율
  • 상한 요율 : 거래유형과 금액에 다라 법적으로 정해진 최대 요율
  • 중개수수료 협의

      → 중개수수료는 협의 가능한 금액으로 상한 요율 이내에서
          중개사와 협의하여 수수료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중개수수료는 법적으로 최대 요율(한도액)을 초과하여
          받을 수 없습니다.(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

2. 부동산 유형별 중개수수료 요율

서울시 기준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일부지역 상이한 곳이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주택 부동산 중개수수료 알려 드립니다
주택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
오피스텔, 상가, 토지의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입니다.
주택외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부동산 중개 수수료 계산 예시

예시 1 : 아파트 매매

  • 거래금액 : 10억 원
  • 상한 요율 : 0.5% (9억~12억 미만)
  • 계산 : 10억 X 0.005 = 5백만 원
  • 적용 : 상한 요율 이내에서 협의

예시 2 : 상가 임대차
상가 임대의 경우에는 계산식이 다릅니다.
매매와 같이 확정 금액이 있는 것이 아니고
보증금, 임대료로 나누어져 있어서
전세환산가를 계산해서 중개수수료를 책정합니다.
전세환산가는 월세로 내는 부동산을
전세가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부동산거래 시 자주 사용되는 내용입니다.
(전세환산가에 자세한 내용은 추후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전세환산가 : 보증금 + (월세 X 100)

  • 보증금 : 5천만 원
  • 월세 :2백만 원
  • 전세환산가 : 5천만 원 + (200만 원 X 100) = 2억 5천만 원
  • 상한 요율 : 0.9%
  • 계산 : 2억 5천만 원 X 0.009 = 225만 원
  • 적용 : 상한 요율 이내에서 협의

오늘은 부동산중개수수료율에 대해 포스팅하였습니다.
주택 매매, 전세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월세와 같은 경우에는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니
오늘 포스팅 잘 읽어 보시고 중개수수료를
더 내는 아까운 일들이 없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