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께 질문드리겠습니다
혹시 본인이 관리하는 휴대폰의 약정 기간이 언제까지인지
알고 계신가요?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이나 인터넷에 가입을 할 때에
약정을 들지만 약정을 왜 들어야 하는지
언제 끝나는지 등을 알고 있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이
없습니다
휴대폰 또는 인터넷 약정기간을 모르고 지나쳤을 때
어떠한 손해가 있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약정이 끝났을 때
약정이 끝났다면 새로운 통신사로 이동 또는 신규 가입을 하거나
기존 통신사를 재약정하게 됩니다.
만약 약정이 끝난 줄을 모르고 그냥 두게 된다면 어떠한 일이 발생될까요?
휴대폰 가입을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휴대폰 가입 시 2가지를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1. 공시지원금으로 가입
2. 선택약정으로 가입
이 2가지의 차이점은 다들 알고 계시지요?
공시지원금은 휴대폰 비용을 지원받는 대신에 통신요금은
할인 없이 가입하게 되는 것이고
선택약정은 휴대폰을 자급제 또는 공기계를 사용하여
가입 합으로써 통신요금의 25%를 할인받는 방식입니다.
어떠한 방식이 휴대폰을 구입할 때 유리한지는 2년 요금제를
비교 계산해 보시면 됩니다.
이제 중요한 것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약정 종료 후 해야 할 것입니다.
1. 휴대폰 통신사 이동이 없이 그대로 사용할 경우
필히 선택약정으로 재 약정 하셔야 합니다.
만일 약정이 종료했음에도 그냥 두게 된다면
통신 요금 할 일 없이 그대로 청구하게 되어서
통신요금의 25%를 손해 보게 됩니다.
예를 들면 59,000원 통신 요금 사용 시
재약정 전까지 14,750원씩 안 내도 될 비용을
납부하게 됩니다.
2. 인터넷 약정 종료 시
사실 휴대폰 같은 경우는 25%라 1~2개월 잊어버린다 해도
금액이 엄청 크지는 않지만
인터넷 같은 경우에는 차이가 많이 나게 됩니다.
어떤 손해가 발생하냐 하면
인터넷은 보통 사람들이 다 tv와 연계해 가입을 합니다.
SK브로드밴드, KT, LG U+ 등
나는 U+ 를 사용하고 있어서 핸드폰, 인터넷, TV 등
전부 다 결합 할인이 있어서 변경하기 어렵다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재약정을 하더라도 필히 하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인터넷, TV상품 신규, 재약정시 필히 할 것
신규야 알아서 지원하는 게 있으니 재약정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재약정시 가입하신 통신사에 재약정 관련해서
지원금을 달라고 직접 통화를 하셔야 합니다.
지원금은 모두 다 다르겠지만 최소 몇만 원부터 10~20만 원까지
지원을 받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진상 같기도 하지만
뭐 통신사 이동하면 어떤 데는 80만 원까지도 지원해 준다고 하는데
이동안 하고 재약정해준다고 하는데
받아야 할 것 아닌가요?
또한 셋톱박스의 경우도 신상품으로 변경받을 수도 있습니다.
각자가 알아서 챙겨 먹어야지 누가 챙겨주지 않으니
약정 기간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내 약정 확인 하는 방법
약정을 확인 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통신사에 전화 문의 : 휴대폰에 114를 눌러서 전화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2. 통신사앱에서 확인하기 : 가입하신 통신사 앱에 들어가시면
휴대폰 및 인터넷 약정기간을 확인 가능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로 보는 월별 별자리와 특징 (4) | 2025.02.05 |
---|---|
만 55세 이상이라면, 심층건강진단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 2025.02.04 |
고속도로 무료 긴급견인 서비스 : 1588-2504 (6) | 2025.01.27 |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15) | 2025.01.21 |
고속도로 통행료 주말 할증? 알고 계신가요? (4)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