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여기저기 숨어있는 내돈 찾기~

by 에레노 2025. 3. 16.
반응형

우리가 자주 잊어 먹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지폐 한 장을 쟈켓 주머니에 넣었다가 그냥 옷장에 넣어 둔다든지

가방 구석에 구겨져 있다든지~

그러다 그거 하나 발견하면 어디 꽁돈 생긴 것처럼

그날 하루가 기분 좋아지는 일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지 못하고 아직도 숨어 있는 돈이

다른 곳에도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돈을 찾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잊고 있던 돈 찾기

1. 통장 속에 잠들어 있는 자산 찾기

 - 예금, 입출금 통장에 돈을 넣어 놓고 오랜 기간이 지나면

휴면예금, 휴면 계좌로 전환되 본인도 쉽게 찾을 수가 없습니다.

이럴 때에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에서 휴면 계좌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예금찾아줌"을 통해 은행 등에 잠들어 있는

휴면 예금을 확인하고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 쌓여있는 카드 포인트 찾기

- 카드를 사용하면 포인트를 차곡차곡 쌓아 주는데,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사용처를 몰라서

잊어 먹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여신금융협회의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

에서는 체크/신용카드 포인트를 일괄 조회하고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못 받은 보험금 찾기

1. 휴면 보험금 되찾기

- 보험 만기 이후에 찾아가지 않으면 휴면 보험금이 됩니다.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에서는 보험가입 내역과

숨은 보험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청구 신청을 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데

액수에 따라 지급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건강보험료 돌려받기

- 지역가입자가 직장가입자로 변경되면서 과거에 냈던

지역가입자 보험료와 직장가입자 보험료 간의

차액이 발생한 경우, 건강 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 지난 1년간 지출한 의료비가 소득에 비해 많은 경우에도

보험료를 돌려줍니다.

건강보험료 환급대상자는 공단에서 지급 신청 안내문을

발송하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금 돌려받기

1. 국세 환급금 찾기

- 연말정산 등을 통해 환급금이 결정되지만 찾아가지 않은 경우

국세청 홈택스에서 "국세 환급금 찾기"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단, 환급금 발생 이후 5년 후에는 국고로 귀속되니 늦지 않아야 합니다.

2. 소득세 돌려받기

- 소득세의 경우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시 본인의 실질 소득과

지출을 기준으로 실제로 내야 하는 세액과 다를 때

환급이 가능합니다.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는 매년 5월 국세청 홈택스에서 할 수 있고

본인의 환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지방세 직접 환급받기

-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등의 지방세는 원천징수되는 국세와 달리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환급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본인이 직접 확인하고 환급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정부 24, 위택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환급 신청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급은 약 3~4일 정도 걸립니다.


정리

구분 운영사 서비스 사이트
휴면예금 금융감독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찾아줌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찾아줌
카드포인트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서비스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입금
휴면 보험금 내 보험 찾아줌 내 보험 찾아줌 생명보험협회 내보험찾아줌
건강보험료 국민건강보험공단 환급금 조회/신청 국민건강보험
국세 환급금 국세청 홈택스 국세 환급금 찾기 국세청 홈택스 - 납부ㆍ고지ㆍ환급 > 국세환급 > 국세환급금찾기
지방세 직접 환급 정부24, 위택스,
지자체 홈페이지
환급금 신청 WETAX-메인

 

다양한 제도와 서비스를 통해서 숨어 있는 돈을 찾는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매년 약 2,831억 원의 휴면 예금이 환급된다고 하니

얼마나 많은 예금이 숨어 있는지.

모두들 잘 찾아서 기분 좋은 하루가 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